발달심리 썸네일형 리스트형 청소년기 쟁점 2 청소년기(12~20세) 청소년기 주요 쟁점 2 - 유해 매체물 「한국의 사회동향 2010」 (통계청, 2010d)에 따르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률은 2004년 20.3%에서 200-년 12.8%로 감소하였으나, 성인 인터넷 중독률(6.4%)의 두 배 정도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또한 가구 구성 형태와 부모의 맞벌이 여부도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양 부모 가정(12.6%)에 비해 한 부모 가정(16.6%), 비맞벌이 가정(7.3%)에 비해 맞벌이 가정(9.9%)의 청소년이 인터넷 중독률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위기청소년은 성인용 간행물을 이용하는 빈도(61.5%)가 높은 반면, 일반 청소년은 온라인 게임의 이용 빈도 (37.2%)가 가장 높았습니다. 일반 청소년의 유해 매체물.. 더보기 청소년기 쟁점1 청소년기(12~20세) 청소년기 주요 쟁점 1 - 성(性) 각종 통신매체가 발달하면서 누구나 손쉽게 성에 대한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더욱이 왜곡된 성문화로부터 보호받아야 할 청소년까지 성에 대한 무분별한 노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일부 청소년의 성행동은 이미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왜곡된 청소년의 성행동은 온라인상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오프라인, 즉 실생활에서까지 나타나고 있습니다. '원조교제'라고 불리는 여자 청소년과 성인 남자 간의 성매매를 비롯하여 성범죄에서의 청소년 가해자, 미성년자의 혼전 임신과 낙태 등이 있습니다. '대검찰청 2010년 범죄분석'에 따르면, 성폭력(강간, 강제추행 등)으로 검거된 성폭력범 중 소년범(18세 이하) 비율은 11.4%(1,574명)에 달하.. 더보기 심리사회적 발달 - 자아정체감, 도덕성 청소년기(12~20세) 심리사회적 발달 청소년은 급속한 신체적 변화를 겪고 사고가 성숙해지는 과정 속에서 새로운 자아를 형성합니다. 이 과정 중 청소년은 '정체감 대 역할 혼미(identity vs role confusion)'를 경험합니다. 이 시기에 새롭게 형성되는 자기 인식은 청소년으로 하여금 ㅇ리생을 통해 헌신할 만한 작업을 선택하고 진로를 결정하도록 만듭니다. 그러므로 올바른 진로 진도를 통하여 청소년이 분명한 진로 목표를 설정하고 성취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일이 필요합니다. 2002년에 청소년이 가장 고민하는 문제는 공부(39.8%)와 외모(19.7%)였으나, 2010년에는 공부(38.6%)와 직업(22.9%)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20~24세 청소년의 경우 2002년에 '직업'때문에 고.. 더보기 인지발달 2 청소년기(12~20세) 이전 포스팅https://flowergrace.tistory.com/104 인지발달1 청소년기(12~20세) 인지발달 1 1) 사고의 특징 청소년기는 Piaget의 인지발달 단계에서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에 해당하는 시기입니다. Piaget(1952)는 청소년의 추상적 논리 사고 능력을 검 flowergrace.tistory.com 2) 언어발달 (2) 청소년기의 언어 청소년기는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고 식별하는 능력, 즉 사회적 조망 능력이 발달합니다. 청소년의 지적 성숙은 그들의 언어 사용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청소년은 작문 능력이 향상되고 은유, 비유, 풍자 등을 이용한 화법을 즐겨 사용합니다. 요즘 청소년은 트친(트위터 친구), 카친(카.. 더보기 인지발달1 청소년기(12~20세) 인지발달 1 1) 사고의 특징 청소년기는 Piaget의 인지발달 단계에서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에 해당하는 시기입니다. Piaget(1952)는 청소년의 추상적 논리 사고 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10개의 속담과 각 속담이 내포하는 의미를 찾는 문제를 제시하였습니다. 형식적 조작기의 청소년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라는 속담에 대해 그 속에 담긴 추상적 의미까지 이해하였습니다. 청소년은 추상적 ㅁㅇ제에 대한 논리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 발달합니다. 그들은 여러 명제 간의 논리적 추론을 다루는 명제적 사고(propositional thinking)를 할 수 있습니다. 명제적 사고를 할 수 있다는 것은 구체적인 예시 없이도 추상적 논리의 사.. 더보기 신체발달3 청소년기(12~20세) 신체발달 1 https://flowergrace.tistory.com/101 신체발달 2 https://flowergrace.tistory.com/102 신체발달2 청소년기(12~20세) 이전 포스팅 청소년기 신체발달 1 https://flowergrace.tistory.com/101 신체발달1 청소년기(12~20세) 신체발달 1) 키와 체중의 변화 사춘기는 성장 급등을 경험하는 시기로 키와 체중의 변 flowergrace.tistory.com 신체발달 3 4) 신체상 청소년기는 자신의 신체와 용모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급격히 변화하는 신체적 특징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그들은 자신의 신체에 대해 자신이 얼마나 만족하는가 하는 느낌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반응에 대해서도 크게.. 더보기 신체발달2 청소년기(12~20세) 이전 포스팅 청소년기 신체발달 1 https://flowergrace.tistory.com/101 신체발달1 청소년기(12~20세) 신체발달 1) 키와 체중의 변화 사춘기는 성장 급등을 경험하는 시기로 키와 체중의 변화 및 2차 성징이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여자 청소년은 12세, 남자 청소년은 14세에 성장 flowergrace.tistory.com 신체발달 2 (3) 여자 청소년의 성적 성숙 여성의 생식선 자극 호르몬은 사춘기 동안 난소의 활동을 자극합니다. 난소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을 분비합니다. 여성의 1차, 2차 성징에 관여하는 주 호르몬은 에스트로겐이며, 프로게스테론은 보조적 역할을 수행합니다. 한 달 주기로 분비되는 에스트로.. 더보기 신체발달1 청소년기(12~20세) 신체발달 1) 키와 체중의 변화 사춘기는 성장 급등을 경험하는 시기로 키와 체중의 변화 및 2차 성징이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여자 청소년은 12세, 남자 청소년은 14세에 성장 급등의 절정을 경험합니다(Santrock, 2010).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 청소년(10~17세)의 경우를 보면 성장 급등의 시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습니다. 2013년 여자 청소년의 경우 10세 평균 키가 143.2cm, 11세 평균 키가 149.5cm로, 일 년 사이 6.3cm가 크게 되어 11세가 성장 급등시기로 볼 수 있습니다. 남자 청소년의 경우는 11세 평균 키가 148.8cm, 12세 평균 키가 156.3cm로 7.5cm의 성장이 이루어진 12세가 성장 급등의 시기였습니다. 한편 이 시기 체중의.. 더보기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