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발달심리학

청소년기 쟁점 2 청소년기(12~20세) 청소년기 주요 쟁점 2 - 유해 매체물 「한국의 사회동향 2010」 (통계청, 2010d)에 따르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률은 2004년 20.3%에서 200-년 12.8%로 감소하였으나, 성인 인터넷 중독률(6.4%)의 두 배 정도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또한 가구 구성 형태와 부모의 맞벌이 여부도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양 부모 가정(12.6%)에 비해 한 부모 가정(16.6%), 비맞벌이 가정(7.3%)에 비해 맞벌이 가정(9.9%)의 청소년이 인터넷 중독률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위기청소년은 성인용 간행물을 이용하는 빈도(61.5%)가 높은 반면, 일반 청소년은 온라인 게임의 이용 빈도 (37.2%)가 가장 높았습니다. 일반 청소년의 유해 매체물.. 더보기
청소년기 쟁점1 청소년기(12~20세) 청소년기 주요 쟁점 1 - 성(性) 각종 통신매체가 발달하면서 누구나 손쉽게 성에 대한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더욱이 왜곡된 성문화로부터 보호받아야 할 청소년까지 성에 대한 무분별한 노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일부 청소년의 성행동은 이미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왜곡된 청소년의 성행동은 온라인상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오프라인, 즉 실생활에서까지 나타나고 있습니다. '원조교제'라고 불리는 여자 청소년과 성인 남자 간의 성매매를 비롯하여 성범죄에서의 청소년 가해자, 미성년자의 혼전 임신과 낙태 등이 있습니다. '대검찰청 2010년 범죄분석'에 따르면, 성폭력(강간, 강제추행 등)으로 검거된 성폭력범 중 소년범(18세 이하) 비율은 11.4%(1,574명)에 달하.. 더보기
심리사회적 발달 - 자아정체감, 도덕성 청소년기(12~20세) 심리사회적 발달 청소년은 급속한 신체적 변화를 겪고 사고가 성숙해지는 과정 속에서 새로운 자아를 형성합니다. 이 과정 중 청소년은 '정체감 대 역할 혼미(identity vs role confusion)'를 경험합니다. 이 시기에 새롭게 형성되는 자기 인식은 청소년으로 하여금 ㅇ리생을 통해 헌신할 만한 작업을 선택하고 진로를 결정하도록 만듭니다. 그러므로 올바른 진로 진도를 통하여 청소년이 분명한 진로 목표를 설정하고 성취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일이 필요합니다. 2002년에 청소년이 가장 고민하는 문제는 공부(39.8%)와 외모(19.7%)였으나, 2010년에는 공부(38.6%)와 직업(22.9%)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20~24세 청소년의 경우 2002년에 '직업'때문에 고.. 더보기
신체발달3 청소년기(12~20세) 신체발달 1 https://flowergrace.tistory.com/101 신체발달 2 https://flowergrace.tistory.com/102 신체발달2 청소년기(12~20세) 이전 포스팅 청소년기 신체발달 1 https://flowergrace.tistory.com/101 신체발달1 청소년기(12~20세) 신체발달 1) 키와 체중의 변화 사춘기는 성장 급등을 경험하는 시기로 키와 체중의 변 flowergrace.tistory.com 신체발달 3 4) 신체상 청소년기는 자신의 신체와 용모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급격히 변화하는 신체적 특징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그들은 자신의 신체에 대해 자신이 얼마나 만족하는가 하는 느낌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반응에 대해서도 크게.. 더보기
신체발달1 청소년기(12~20세) 신체발달 1) 키와 체중의 변화 사춘기는 성장 급등을 경험하는 시기로 키와 체중의 변화 및 2차 성징이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여자 청소년은 12세, 남자 청소년은 14세에 성장 급등의 절정을 경험합니다(Santrock, 2010).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 청소년(10~17세)의 경우를 보면 성장 급등의 시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습니다. 2013년 여자 청소년의 경우 10세 평균 키가 143.2cm, 11세 평균 키가 149.5cm로, 일 년 사이 6.3cm가 크게 되어 11세가 성장 급등시기로 볼 수 있습니다. 남자 청소년의 경우는 11세 평균 키가 148.8cm, 12세 평균 키가 156.3cm로 7.5cm의 성장이 이루어진 12세가 성장 급등의 시기였습니다. 한편 이 시기 체중의.. 더보기
청소년기 청소년기 청소년기의 어원은 라틴어 'adolescere'에서 유래된 것으로 '성숙한 사람으로 성장해간다(to grow or to grow into maturity)'는 뜻입니다. 사춘기(puberty)로 시작되는 청소년기는 신체적 변화가 일어나는 생물학적 성숙으로 인해 그 시작이 분명한 반면, 끝나는 시점은 행동적·문화적·심리적 성숙의 개인차로 인해 사람마다 다양합니다. 청소년기는 사춘기의 여러 가지 육체적·심리적 변화로 부모-자녀 관계도 가장 힘들고 청소년 자신도 가장 동요하는 시기입니다. Johann Goethe(1749~1832)와 Stanley Hall(1846~1924) 역시 청소년기를 질풍노도의 시기(time of storm and stress)로 정의하였습니다. 청소년기는 아이도 성인도 아닌.. 더보기
학습장애, 불안장애 아동기(6~11세) 행동 및 심리적 장애 : 학습장애 초등학교 3학년인 호재(가명)는 글을 읽고 쓰지 못한다. 지능검사상의 문제는 없으나 기초학습기능검사 결과 학년 수준과 2년 이상 차이가 났다. 호재는 '사과'라는 단어와 '고구마'라는 단어는 알고 있는데 '사고'라는 단어는 읽지 못한다. 자기 이름을 써 놓은 것은 읽지만 이름의 글자가 다른 곳에 있으면 읽지 못한다. 5세 때부터 한글 학습지를 하고, 집에서 글자를 가르치려 노력했지만 전혀 나아지지 않았다. 배운 글자를 바로 잊어버렸다. 초등학교에 입학해서 받아 쓰기 시험을 보면 10~20점 정도였고, 하나도 쓰지 못해 0점을 받을 때도 있었다. 수업 시간에 책을 읽으라고 시키면 전혀 읽지 못하고, 문제를 읽을 수가 없어서 시험을 보면 백지로 내는 경우.. 더보기
ADHD 아동기(6~11세) 행동 및 심리적 장애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서울의 한 식당에서 만난 영민(가명, 10세)이는 한시도 가만히 앉아 있지를 못했다. 의자에서 내려와 식당을 이리저리 돌아다니기를 서너 번, 주문을 하고 식사가 나오는 10분 사이에 다리를 앞뒤로 휙휙 저으며 단무지를 세 접시나 집어먹었다. 더 이상 먹을 단무지가 없자 이번에는 플라스틱 젓가락을 가지고 장난을 치기 시작했는데, 결국 젓가락을 부러뜨리고 말았다. 영민의 어머니는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는 아이가 그저 활발한 편이려니 하고 생각했는데, 학교에 입학한 후 여러 문제가 발생하여 병원에 갔다"라고 말했다. 철호(가명)는 초등학교 2학년이다. 지하철을 타면 칸을 옮기며 뛰어다니고, 자리에 앉아서도 발을 가만히 두지 못하고 .. 더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