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책을 많이 읽기 원하는 것은 저를 포함해서 모든 부모들의 공통된 바람일 것입니다. 하지만 요즘엔 텔레비전, 핸드폰, 패드 등 영상기기도 많아지고 그만큼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들도 많습니다. 그만큼 책을 보는데 시간이 적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영상매체를 통한 시청이나 게임은 더욱 아이들이 흥미로워하고 자극될 만한 것이기 때문에 책을 펴기도 쉽지 않습니다. 책을 읽고 생각을 하면 전두엽이 활성화 된다는 사실은 모두가 익히 들어 알고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생각할 틈이 없이 빠르게 지나가버리는 영상매체는 뇌가 일을 안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것을 알면서도 아이들을 책을 읽히기란 참 어렵습니다.
조건부 책읽기?
책을 읽게 하기 위해서 부모님들이 많이 사용하는 스킬 중 하나는 '책 읽으면~ '입니다. 게임이나 용돈을 조건으로 책을 보게 합니다. 처음에는 책을 읽으려고 하지만 이러한 조건부는 어느샌가 게임을 포기하기도 합니다. 조건부로는 자발적인 독서를 이루기에는 역부족인 것 같아 보입니다.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책을 좋아하고 스스로 가까이하는 아이임을 원할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당장의 어떤 효과를 기대고자 조건부를 제시하기보다, 책과 친해질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억지로라도 하게 되면 습관이 되겠지?'라는 생각은 위험합니다. 오히려 책을 싫어하게 될 수 있는 독이 되기 때문입니다.
조건부 보다는 책을 읽었을 때의 즐거움, 재미, 뿌듯함 등을 심어 줄 수 있는 방법이 좋습니다. 가령, 읽은 책을 쌓아보는 것입니다. 높이높이 쌓여가는 책탑의 높이를 보면 아이들은 한 권 더 한 권 더 하며 책을 읽지 않을까요? 책을 볼 때마다 스티커를 붙여서 칸을 채워나가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들 자신이 스스로 한 일의 경험에 대해 시각적으로 결과가 보이면 아이들은 성취감을 느낄 것입니다.
만화책만 보는 아이
만화책만 보면 나중에 글자책을 안본다, 혹은 대충 글자를 읽게 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저도 그래서 만화책 한 권 당 글자책 한 권을 읽기라는 규칙을 만들기도 했는데, 만화책 삼매경인 아이에게는 쉽지 않은 규칙이더군요. 이제는 '만화책도 책이니까 뭐라도 읽는 게 낫겠지'하며 포기해버렸습니다. 그리고 기왕 읽는 거 좀 더 유익한 걸 읽자는 취지로 한자 만화책이나 지식 관련 만화책을 사주었습니다. 제가 학창시절에 걸어 다니면서도 만화책을 읽는 친구가 있었습니다. 그저 판타지 같은 만화책이었습니다. 그 친구는 공부를 그다지 잘하지 않았던 친군데 이상하게도 언어영역은 항상 1등급이었습니다. 그때 그 친구를 보면서 아무리 만화책이어도 책은 책이구나 하며 느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합리화일지도 모르지만, 그때 그 친구가 생각나면서, 일단은 책에 흥미를 붙이는 게 좋지 하며 아이의 만화책 삼매경에 터치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 친구의 케이스가 100% 정답일수도 없지만 무슨 책이라도 안 읽는 것보다는 낫지 않을까 합니다. 게다가 예전에는 종이책만 존재했지만 지금은 전자책이나 웹소설, 웹툰 등 여러 가지로 독서를 할 수 있는 방법이 많아졌습니다. 전자기기에 아이들을 노출시키는 것이 아직은 좀 그렇지만, 책의 범위가 확장되었다는 것은 염두해야 하는 문제라 생각합니다. 책이라는 것이 어쨌든 사고를 확장시키고, 생각을 하게 만드는 것에 의의가 있다면 다양한 범위를 인정하는데도 무리는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책 읽어주기
아이가 스스로 책을 읽지 않는다면 부모가 읽어주는 것은 어떨까요? '한글도 읽는 다큰 애를 무슨 책을 읽어줘'라고 하실지 모르겠지만, 아이들이 스스로 책을 읽기는 싫어해도, 책의 내용은 대부분 좋아합니다. 부모가 읽어줌으로 인해서 아이들은 책 내용에 흥미를 느낄 것이고, 정말 재미있는 내용이었다면 나중에 스스로 그 책을 읽기도 합니다. 또한 듣기를 통해서 청각 주의력이 향상되어 선생님 말씀이나 다른 사람의 말을 집중해서 들을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목소리로 책을 듣는다는 것은 안정감과 유대감 향상에 좋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할 것입니다. 어린아이 일 때는 무릎에 앉히거나 팔베개를 하고 책을 읽어주곤 했는데 한글을 떼면서부터는 그런 시간이 없거나 줄어들게 되죠.
매번 읽어주기가 어렵고 시간적 여유가 없다면 주말에라도 읽어주는 시간을 내어보면 어떨까요. 시간이 괜찮다면 한페이지씩, 혹은 한 문장씩 번갈아가며 읽는 것도 아이들은 재밌어할 것입니다. 저는 아이와 역할을 나누어 A의 대사는 엄마가, B의 대사는 아이가 읽기도 했습니다. 또 아직 한글이 읽기가 미숙할 때는 특정 단어만 읽도록 하기도 했습니다. 그 책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를 읽도록 시키는 것입니다. 엄마랑 책을 읽는 경험도 좋은데, 읽는 과정에서 흥미도 생기면서 한 권 더 한 권 더 하며 책을 가지고 오는 매직을 경험했습니다.
맺음말
좋은 습관을 만드는 것은 참 어렵고 오래 걸립니다. 부모들은 아이에게 좋은 습관을 만들어 주기위해 고민과 걱정을 합니다. 책이 주는 유익에 대해 너무나도 잘 알고 있기에 자녀들에게 책 읽는 습관을 만들어 주고 싶습니다. 이런 부모의 노력으로 자녀들은 잘 성장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다만 뭐든지 지나치면 독이 되는 것처럼, 아이에 맞는 방법과 강도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저 아이는 저렇게 해서 책을 잘 읽는대'라는 말을 아무리 듣고 적용을 해도 100% 된다는 보장은 사실 없습니다. 조바심을 내려놓고, 천천히 지켜보면서 방법을 찾아나가면 자녀가 언젠가 책을 가까이하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참고서적
이화여자대학교 아동발달센터, [코로나 시대 아이 생활 처방전], 와이즈맵, 2021.3
'육아고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의 일은 스스로 하자! 자율성 기르기 (0) | 2022.07.23 |
---|---|
SNS에 빠진 아이 (0) | 2022.07.22 |
자녀간의 갈등, 부모 자녀의 갈등 (0) | 2022.07.20 |
엄마의 작은 변화가 만드는 것 (0) | 2022.07.18 |
화내지 않고 아들 키우기 2 (0) | 2022.07.16 |